모드
교육
한자
전래 : 철기시대부터
유물 : 진과, 붓 발견1
유물 : 신라는 이두와 향찰사용
교육기관
삼국시대
k 태학 + 경당
b 사택지적비, 개로왕의 북위국서, 박사제도
s 화랑도, 임신서기석
통일신라
교육기관 명칭 : 국학 → 태학(감) → 국학2
유학교육, 독서삼품과3
발해 : 주자감
태학
고구려 : 소수림왕 때 태학 설립
신라 : 경덕왕이 국학을 태학으로 개칭
고려 : 국자감의 태학4
역사서
고구려 : 유기, 신집5권5 in 영양왕7c
백제 : 서기6 in 근초고왕4c
신라 : 국사7 in 진흥왕6c
통일신라 : 김대문의 화랑세기, 고승전, 한산기8
종교
불교수용
K : 소수림왕 from 전진 by 순도
B : 침류왕 from 동진 by 마라난타
S : 눌지왕 from 고구려
S : 법흥왕 때 공인 불교식왕명사용
불교교단
교종과 선종 : 9
인물 : 통일신라 중대
원효
교단통합시도 : 일심사상, 화쟁사상, 십문화쟁론 저술
불교의 이해 기준마련 : 금강삼매경론 저술, 대승기신론소 저술
불교대중화 기여 : 아미타신앙
의상
전제왕권기여 : 일즉다 다즉일, 왕즉불사상, 화엄사상, 화엄일승법계도 저술
불교의 대중화 : 아미타 + 관음신앙 확산
제자양성 : 영주 부석사10에서 제자양성
원측 : 유식불교
혜초 : 왕오천축국전 저술
발해불교
상황 : 왕실, 귀족의 후원으로 교종 유행
승려 : 석정소
유적 : 상경성 절터 발견
유물 : 이불병자상 11
유학
강수의 답설인귀서
설총의 화왕계
최치원 12의 시무10조
도교수용
7c 유입, 귀족 중심 발전
백제
산수무늬벽돌
사택지적비
무령왕릉의 매지권
금동대향로
고구려
고분벽화 방위신 사신도
연개소문의 도교 장려와 그에 대한 반대로 열반종
선종
종파 : 도의 - 가지산파, 이엄 - 수미산파 ※ 이암13
유행 : 통일전후 하대에 유행
풍수지리
도입 : 신라 말 도선이 도입
영향
국토의 효율적 이용
선종과 더불어 신라정부의 권위 약화시킴
유적
건축
K : 안학궁터 - 장수왕 남하정책으로 평양천도 후 건축된 궁
S : 황룡사14, 9층목탑15, 미륵사16
통일신라 : 불국사 17 , 안압지
탑
고구려 : 목탑위주, 현존하지 않음
백제 : 미륵사지석탑, 부여 정림사지 5층석탑
신라 : 황룡사 9층 목탑18, 분황사 모전석탑
통일신라 중대 : ...
통일신라 하대 : 양양 진전사지3층 석탑19, 승탑유행
고려
개성 불일사 5층 석탑
부여 무량사 5층 석탑
월정사 8각 9층 석탑(송)
경천사 10층 석탑(원)
조선
원각사 10층 석탑
불상
고구려 : 연가7연명 금동여래입상20
백제 : 서산 마애삼존불상
신라 : 경주배리석불입상, 삼산관
k b s 공통 : 금동미륵보살 반가사유상21
통일신라 : 석굴암본존불상
고려
광주 춘궁리 철불
논산 관촉사 석조 미륵보살입상(은진미륵)
안동 이천동 석불
부석사 소조아미타여래좌상22
※ 주심포양식23
범종
상원사종
성덕대왕신종
서예
김생 : 집자비문
김인문 :요극일 왕희지체, 구양순체에 능했다
중국의 서체
왕희지체 : 위진남북조시대
구양순체 : 당나라
조맹부체 : (송설체) 원나라
그림
천마도 : at 천마총, 신라
황룡사 벽화 : by 솔거
음악
거문고 : 왕산악의 거문고 제작
3현 : 백결선생의 3현
가야금 : 가야 우륵의 가야금
과학기술
천문학
농업중시, 왕실권위에 연관해 중시함
고구려 천문벽화
신라 첨성대 in 선덕여왕
수학 : 조형미술에 수학이용
인쇄술
인쇄술발달, 제지술발달
목판 인쇄물 : 무구정광대다라니경(현존최고목판)
활판 인쇄물 : 상정고금예문24, 직지심체요절25
일본에 영향을 준 것들
시대별
가야 : 스에키문화, 토기 전파
삼국시대 : 아스카 문화에 영향줌
고구려 : 담징, 혜자26, 혜관
백제 : 아직기, 왕인, 노리사치계27
신라 : 조선술, 제방술, 한인의 연못
통일신라 : 하쿠호문화에 영향, 심상이 화엄종28 전파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