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드
오백 년 도읍지를 필마로 도라 드니
산천은 依舊(의구)ᄒᆞ되 인걸은 간 듸 업다
어즈버 태평 연월이 ᄭᅳᆷ이런가 ᄒᆞ노라
작자: 길재
제목: 회고가
특징: 대조(산천<>인걸, 불변<>변함)
꿈(인생무상, 맥수지탄)
작자: 이개
특징: 촉불=감정이입, 표면상 연정가, 내용상 단종에 대한 절의가
작자: 왕방연
특징: 물=감정이입, 연정가, 절의가
작자: 원호
특징: 여흥=감정이입, 연정가, 절의가
작자: 송순
제목: 한정가
황진이
홍랑
특징: 초장-도치법, 님의 손대(님 에게, 낙착구)
김상헌
우국가
특징:
이항복
특징:구중심처=서궁
박인로<조홍시가>★★
윤선도<어부사시사>
강호한정가, 각 계절별 10수씩, 총 40수
1. 봄: 벅구기, 버들숩
후렴구(지국총지국총 어사와) = 음차 언어유희, 의성어
2. 여름: 청양립, 녹사의
종장(갈매기와 화자) 물아일체, 자연친화
3. 가을: 츄강
믈, 속세 현실
4. 겨울: 눈
관동별곡
강호에 병이깊어 ~ : 천석고황
소양강 ~ (한강으로 향하는 물길, 임금 계신 곳) : 연군지정
고신거국 ~ : 우국지정
삼각산 ~ (한양 쪽, 임금 계신 곳) : 연군지정
청년노룡 : 정철자신을 가리킴
풍운 : 때, 기회
삼일우 : 임금의 은총
음애 - 이논 - 풀 =>백성
====>관찰사로 부임하며, 선정의 포부, 애민사상
민속극(탈춤)
사회 비판적 기능=골계미,해학,풍자
특별한 무대장치가 필요 없다=무대와 객석의 구분이 없다=공연장소와 극중 장소가 일치한다
옴니버스식 구성(전체 주제는 같으나, 인물이 다름) 각 과장은 유기적 인과관계가 없으며,
독립적 구성이다. 각 과장의 순서배치가 필요없다
신분을 나타내는 요소
벙거지,채찍-말뚝이
부채,장죽-양반
희화화된 양반의 모습
재담구조
양반등장(위엄)->말뚝이 풍자비판->양반호령->말뚝이변명->양반안심+굿거리장단과 춤
양반안심=>재담을 구분, 독자의 긴장완화, 일시적 갈등해소
말뚝이에 관해 => 방자(춘향가에서 가장 중요한 인물)형 인물,
양반을 비판하면서도 종속된 인물신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