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드

  • 소설

    Posted in 국어/현대문학

    2014. 12. 14. 13:02

    1 특성

     서사성,
     현실성-현실반영 현실소재 ,
     모방성,
     허구성-꾸며낸이야기,
     진실성-참된삶의모습,
     예술성,
     개연성-가능성

     소설은 있을법한 상상의 이야기 , 개연성있는 허구적 이야기 이다.

    2 주제 제시

     직접제시-말하기
      해설적,명시적,요약적
      편집자적논평 고전소설,장편소설에서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
      
     간접제시-보여주기
      극적,장면제시
      현대소설에서 많이 사용
     


    3 구성 

     

     단순구성, 복합구성
     액자구성
     

    4 인물

     

     대표성유무에 따라, 전형적인물, 개성적인물
     인물의 성격변화에 따라 평면적,입체적인물
     

    5 인물의 태도
     현실순응,운명순응적 인물
     이기주의적 인물
     기회주의적 인물

     

    6 구성의 단계
       사건, 발단, 전개, 절정, 결말

    7 갈등의 유형
     개인과 개인의 갈등 - <동백꽃><봄봄>
     개인과 사회의 갈등 - 채만식<레디메이드인생> 일제우민화교육비판
            김정한<사하촌>
        개인과 운명과의 갈등 - 김동리<역마>
             김동인<배따라기>

    8 배경
       인물과 환경(배경)의 관계
     이상적 인물: 고전소설 - 환경과 관련이 없는 경우가 대다수,타고난능력출중
     전형적 인물: 환경과 관련있음
       
     배경의 기능:
     1 분위기형성-이효석<메밀꽃 필 무렵>-달밤(낭만적,서정적분위기,과거회상의 매개체)
     2 상징적기능-
     
     4 이상<날개>
     해가 들지 않는 윗방(나)-자아가 억압받는 공간, 현실적경제적사회적열등,거세된남성
     
     햇빛이 드는 아랫방(아내)-화려함,우월감,가학적공간,자아의 내적갈등을 해소
     
     5 사건전개를 암시하기도 한다
     손창섭<비 오는 날>원구와 동욱(소아마비여동생 동옥) - 동욱징병,동옥사창가
     현진건<운수 좋은 날>
     비는 불길함, 우울함을 나타낸다
     
    9 어조, 말투
     
     
    10 시점
     1인칭 주인공시점 - 서술자는 작품내부 나(주인공)
     주인공의 심리묘사 쉽다
     독자에게 친금감, 신뢰감주기 쉽다

     

     1인칭 관찰자시점 - 서술자는 작품내부의 나(관찰자)
     주요섭<사랑손님과 어머니> 전영택<화수분>
     객관적관찰과 주관적해석(관찰자 나의 주관적 해석)
     주인공 심리를 감춘다-경이감을 준다,독자의 상상력유발
     
     3인칭 작가 관찰자
     서술자는 작품외부 작가는 관찰자
     황순원<소나기>김동인<감자>전영택<화수분>
     가장객관적이다, 작가설명이 없기때문에제약이 크다
     인물의 심리묘사가 없다
     
     3인칭 전지적 작가
     서술자는 작품외부 작가는 전지적
     고전소설,장편소설에서 많이 사용된다
     염상섭<삼대> 채만식<태평천하>
     모든 인물의 심리묘사쉽다
     독자의 상상력 제한
     

    11 거리
     인물 ↔서술자↔독자
      인지도   친근감

     

    댓글

  • Total :
  • Today :
  • Yesterday :
  • Powered by Tistory
  • Copyright © 2014 9grade v1.0424, someday shining light will come
  • Admin
  • Write
  • Modify
  • Outline
  • Dic
  • Set
  • Share
  • Top
  • K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