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드
지 역 | 지상적설하중(kN/m2) |
서울, 수원, 철원, 춘천, 원주, 백령도, 서산, 청주, 대전, 안동, 추풍령, 포항, 군산, 대구, 전주, 울산, 창원, 광주, 부산, 통영, 여수, 흑산도, 완도, 진도, 제주, 고산, 성산, 서귀포, 진주, 이천, 인천, 천안, 보령, 거창 | 0.5 |
정 읍 | 0.65 |
목 포 | 0.7 |
울 진 | 1.0 |
동 해 | 1.6 |
속초, 강릉 | 3.0 |
대관령 | 7.0 |
울릉도 | 10.0 |
(1)지붕적설하중을 산정하기 위한 지상적설하중은 <그림 0304.2.2.>의 기본지상적설하중에 따른다. 이때 <그림 0304.2.2>을 사용할 경우, 지역적 기후와 지형에 따라 국부적인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그림 0304.2.2.>상의 지상적설하중이 3.0kN/m2 이하인 지역의 고지대나 산간지방 같은 특정한 지형조건에서는 <그림 0304.2.2.>의 값을 1.5배하여 기본지상적설하중으로 한다.
(2)특정지역에 대한 지상적설하중은 실제의 조사·연구에 의한 수직최심적설깊이 및 눈의 평균 중량 등을 고려하여 산정할 수 있다.
(3) 최소 지상적설하중은 0.5kN/m2로 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