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드
언어의 본질
정의
언어란 : 사람이 사용하는 것이며 형식과 내용을 가지고 있다.
주체 : 사람
형식 : 소리나 글로 표현, 음성과 문자의 형식을 갖춤
내용 : 뜻, 의미를 가지고 있음
본질
기호성 : 형식과 내용을 가지고 있다. 상징적이다
자의성 : 형식과 내용의 관계는 임의적이다.1
사회성 : 사회적 약속, 한 개인이 임의적 교체불가
역사성 : 언어는 변한다2
개방성 : 창조성 - 이미 알고 있는 말을 새롭게 조합, 문장길이 무제한. ※ 역사성은 없는 말이 생성
추상성 : 개념어, 추상어
분절성 : 연속된 개념을 나눠서 파악3
체계
언어는 체계적 질서가 있다.
언어는 선택 가능항의 집합이다.
주어 목적어 서술어 조사 각각 위치별 선택가능하다.
개방적 선택 : 어휘는 선택 가능항이 많다
폐쇄적 선택 : 문법어4는 선택 가능항이 적다
구조
구성요소와 구조의 관계, 하위개념과 상위개념, 상대적이다.
예시 : 음운→음절→형태소→단어→어절→문장→단락→담화
음운과 음절 : (구조:음절, 구성요소:음운)
음절과형태소: (구조:형태소, 구성요소:음절)
형태소와 단어 : (구조:단어, 구성요소:형태소)
상대적인 구성요소와 구조의 관계이다.
언어의 기능
기능
표현적 기능 : 화자가 자신의 판단·태도·정서 등을 청자에게 전달, 정서적 기능
표출적 기능 : 청자에게 전달의도 없이 본능적, 기호5화 이전의 용법, 감탄사
감화적 기능 : 명령적 지시적, 명령문 · 청유문 · 간접명령문 · 표어 · 선거유세문
친교적 기능 : 일상적 인사말, 사회 생활의 윤활유적 기능, 단어 자체의 개념적 의미는 중요치 않음, 발화 행위 자체를 중시
초언어적 기능 : 관어적 기능, 언어의 의미를 언어로 표현, dictionary에서 언어의 의미를 언어로 표현함
미적기능 : 시적기능
지식정보 전달기능
지식정보 보존기능
우리말
우리말의 분류
계통상 알타이 어족계6
우리말의 특질
문법상 :
수식어와 피수식어 위치관계
주어 목적어 서술어 어순관계
관사 전치사 관계대명사 접속사
단어의 성구별 등이 없음
리듬 : 모음조화
발음상 : 두음법칙
형태상 : 교착어 첨가어 cf. 영어는 굴절어7
기타특질 : 조사와 어미가 발달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