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드
동태적범주
글의 전개방식
동태적 범주는 시간성과 관계가 있는 방법이고,
정태적 범주는 시간성과 관계가 없는 방법이다.
서사
시간성 + 움직임 + 의미
과정
단계적 순서
인과
원인과 결과
정태적 범주
정의
뜻풀이나 개념설명, A는 B이다
인간은 생각하는 동물이다 → 피정의항(종개념) , 정의항(종차, 유개념)
정의의 규칙:
종개념은 피정의항이다.
종차는 종개념의 본질,유일한 특성이다.
유개념은 종개념의 상위개념이다.
예)동물(유개념), 인간,개,고양이-> 인간만의 특징,언어(종차)
피정의항과 정의항
분류
하위개념을 상위개념으로 조합
예) 시,소설,수필, 희곡 등을 문학아라 한다
구분
상위개념을 하위개념으로 나눔
예) 시는 정형시, 자유시, 산문시로 나뉜다
일정한 기준이 있다
분석
세부적으로 나누어 설명하는 것
일정한 기준이 없다
비교
조건
유사성,
둘 이상의 대상이 있을 것,
동일 범주일 것
대조
조건
차이점,
둘 이상의 대상이 있을 것,
동일 범주일 것
유추
유사성에 의한 추론
묘사
추론
논증
전제: 주어진 정보, 타당성이 있어야 한다
결론: 새로운 정보
사실명제 객관적 사실판단
가치명제 주관적 가치판단, 선악 미추
정책명제 당위성을 가진다, ~해야 한다
형식에 따라
가언명제 - 조건, 만약 대한민국 남자라면, 군대를 가야한다
선언명제 - A or B
정언명제 - 단정적 진술, 대한민국 남자는 군대를 가야한다
연역추론에는 가언3단, 선언3단, 정언3단 논법이 있고,
귀납추론은...
가언3단 논법
전제: 가언명제로 되어있다 ( 무조건 연역 추론이다 )
예)
대한민국 남자라면 군대를 간다.
그러므로 철수와 민수와 MC몽은 군대를 군대를 가야한다.
선언3단 논법
전제: 선언명제로 되어있다 ( 무조건 연역 추론이다 )
예)
그는 남자이거나 여자이다. 그는 남자이다.
그러므로 그는 여자가 아니다.
정언3단 논법
전제: 일반적 보편적 사실, 모든 모두 전부 다
결론: 구체적 사실, 일부분 개인 개별적 사실
예) 사람은 죽는다. 그러므로 철수와 영희는 죽는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