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드
민족문화 발달
집권세력의 영향
15c 훈구파 - 타사상, 학문인정, 민족문화발달
16c 사림파 - 성리학고집, 소중화로 민족문화쇠퇴
한글창제
정음청 설치
훈민정음 창제 1443
민족문화발달 계기마련
간경도감 - 불경의 한글번역본 (세조)
용비어천가
월인천강지곡
교육기관
성균관 : 최고 유학기관
4부학당
향교
서원
서당 : 양반층 분화로 인한 잔반의 투입 등으로 조선후기 서당 급증
양반층 분화
권반 정치권o, 경제권o
향반 정치권x, 경제권o
잔반 정치권x, 경제권x
성리학
분파
동인 - 영남학파
북인
서경덕 - 노장사상,주기론의 선구자
조식 - 노장사상
남인
이황 - 주리론
서인 - 기호학파
이이 - 주기론
성혼
이기론
이 - 원리
기 - 그릇
대표적인물
이황
주리론 : 이원론적 이기론 (이!=기)
도덕적 원리 중시
성학십도
일본성리학에 영향줌
영남학파
→ 위정척사사상에 영향줌
이이
주기론 : 일원론적 이기론 (이==기)
현실문제 관심
성학집요
수미법주장
기호학파
→ 개화사상에 영향줌
성리학의 교조화
인조반정 이후, 성리학의 교조화 심화됨
성리학적 명분론 강화됨
서인, 노론, 송시열
탈성리학 현상
성리학이전의 원시6경과 제자백가 논의
윤휴 - 북벌운동 주장, 남인
박세당 - 사변록, 색경(농업서적)
노론내부의 호락논쟁
호론 - 인물성이론 → 북벌운동 → 위정척사사상
낙론 - 인물성동론 → 북학운동 → 개화사상
※ 북학운동(박지원) 개화사상(박규수)
서인분열 by 경신환국
노론(이이) - 송시열
소론(성혼) - 윤증
이황의 학설두둔
성리학 이해의 탄력성, 성리학만 고집x
윤휴의 학설두둔
양명학 계승
실학
등장 배경
계기
성리학의 실천적 기능부실, 형식화 비판
청의 고증학에 영향받음
선구자
이수광 - 지봉유설 (천주실의 소개)
한백겸 - 동국지리지
김육 - 시헌력 채택건의, 대동법 확대실시건의
중농주의 실학
토지개혁, 자영농육성 주장
유형원
반계수록 저술
균전제 주장 - 사농공상에 따른 차별적 균등토지법
한계점 - 직업적 차별인정
이익
성호학파 형성
나라의 폐단, 6좀 비판
우리나라 역사의 독자적 정통론 주장
한전제 주장(하한선) - 영업전은 매매불가
정약용
실학의 집대성
여유당전서 등 500여권 저술
초기 여전제 주장 → 정전제로 전환
중상주의 실학
상공업 활성화, 북학파
유수원
우서
직업적 전문화·평등 주장
홍대용
담헌연기
무한우주론 + 지전설
성리학사관 극복 및 부국강병 실현 주장
균전제
박지원
열하일기
화폐유통 활성화 cf. ↔ 이익의 폐전론
수레, 선박 이용 권장
한전제(상한선) - 최대판매 토지제한, 지주제 긍정
박제가
서얼출신
북학의 저술
우물론 - 소비권장
중농주의 vs 중상주의
유수원
균전제 - 유형원, 홍대용
한전제 - 이익, 박지원
천연두연구 - 정약용, 박제가
국학과 양명학
국학
우리나라의 국어, 역사, 지리, 의학 연구
역사
17c
동국지리지 by 한백겸
동사 by 허목
18c
동사 by 이종휘
동사강목 by 안정복
발해고 by 유득공
19c
해동역사 by 한치윤
연려실기술 by 이긍익
국어연구
훈민정음운해 by 신경준
언문지 by 유희
고금석림 by 이의봉 - 사투리 방언집
아언각비 by 정약용
백과사전
지봉유설 by 이수광
성호사설 by 이익
임원경제지
양명학
정제두가 강화도에서 강화학파형성
양명학 연구
존언, 만물일체설 저술
일반인을 도덕적 실천의 주체로 인정 → 신분제 부정
심즉리, 치양지설
실학자와 교류빈번
cf. 한말, 민족주의 사학자에 영향줌
박은식의 유교구신론
불교와 도교
15c 훈구파 시기
불교 탄압
도첩제 시행(태조) → 폐지(성종)
사원전 몰수(태종)
사원 정리( 36사로 축소,세종)
명맥유지
세종
내불당 건립
△ 무위사 극락전 (강진)
세조
간경도감
해인사 장경판전
△ 원각사지 10층 석탑
16c 사림파 시기
불교탄압으로 산간불교로 전환
명종때 문정왕후가 주도하여,
부활 시도
보우 등용
승과 부활
17c 임진왜란 시기
△ 법주사 팔상전 (보은)
△ 화엄사 각황전 (구례)
△ 금산사 미륵전 (김제)
18c
△ 논산 쌍계사
도교의 쇠퇴
15c
소격서
△ 참성단 건립
초제 거행
16c
소격서 폐지 (by 조광조)
cf. 풍수지리사상의 영향
14~15c 한양천도
16c 산송문제 유발
과학기술
천문학
천문기구
혼의, 간의
시간측정기구
양부일구 : 해시계
자격루 : 물시계 by 장영실
측량기구
인지의, 규형
천문도
천상열차분야지도(태조)
천문도(세종)
조선후기 천문학
이익, 정약용, 이수광
김석민 : 최초 지전설 주장
홍대용
지전설, 무한우주론 주장
중국중심 성리학적 세계관 탈피
부국강병 추구
역법
선명력 (당, 송)
수시력 (원)
대통력 (명)
칠정산 (세종)
시헌력 (청) 조선후기, 김육
인쇄술
활자
태종 - 계미자
세종 - 갑인자, 식자판
조지서 설치
자기
전기
△ 15c 분청사기
△ 16c 백자
후기
△ 17~19c 청화백자
민간에까지 널리 이용
서적
역사서
건국초
조선건국의 정당성표명하기 위해 발간
고려국사 by 정도전
실록편찬시작
태종부터 시작
춘추관 안에 실록청개설
사초 - king 사후 편찬
개정 - by 선조, 현종, 경종
4대사고 - 서울의 춘추관, 상주, 충주, 전주
임진왜란으로 소실 후, 5대 사고로 보강
15c
동국사략 by 권근
고려사, 고려사절요
동국통감
삼국사절요
16c
기자실기 by 이이
동국사략 by 박상16c
농서
농사직설
모내기법 소개
가뭄에 대한 위험성때문에 장려하지는 않음
사시찬요
계절별 농법기술 (세종)
금양잡록 (성종)
병서
진도 (태조)
총통등록 (세종)
동국병감 (문종)
병장도설
최해산의 신기전
지도
15c
혼일강리역대국도지도
팔도도 (태종~세종)
동국지도 by 양성지
16c
조선방역지도
17~
동국지도 정상기
대동여지도 김정호 - 휴대 용이, 분첩 절첩식 휴대
지리지
관찬지리지
사찬지리지
신찬팔도지리지
동국여지승람
읍지
조선후기
동국지리지 한백겸 - 역사지리저적 성격
아방강역고 정약용
택리지 이중환 - 마을을 택하는 방법론
윤리서
15c
삼강행실도
국조오례의
효행록
16c
이륜행실도
동몽수지
소학, 주자가례 장려·보급
법전
조선경국전, 경제문감 by 정도전
경제육전
cf. 육전조례(흥선대원군)
경국대전
속대전
대전통편
대전회통
의학서
조선후기에 발간
동의보감 by 허준 - 예방의학
침구경험방 by 허임
동의수세보원 by 이제마 - 사상의학
정약용
마과회통
기예론
거중기, 배다리 설계, 수원화성 건립
박제가와 함께 종두법 연구
건축
15c
궁궐, 공공기관, 관청
16c
서원 건축
가람배치
주택양식과 흡사
백운동 서원
소수서원
17c
양반지주의 후원을 받은 불교 건축물
△ 법주사 팔상전
△ 화엄사 각황전
△ 금산사 미륵전
18c
부농의 후원을 받은 불교
△ 논산 쌍개사
△ 부안 개암사
△ 안성 성남사
△ 계획건축물로 수원 화성이 있다
19c
△ 경복궁 중건
회화
15c
△ 몽유도원도 by 안견
△ 고사관수도 by 강희안
16c
화풍다양
여류화가
△ 송화보월도 by 이상좌, 노비출신
△ 사군자유행
진경산수화
△ 인왕제색도, 금강전도 by 정선
풍속화
김홍도 - 익살스러운 그림
신윤복 - 부녀자 대상을 그림
김득신
김석신
서양화기법
원근법
△ 강세황의 영동골입구도
민화
작자미상 작품들
생활 장식품 소재
김정희
△ 세한도, 금속자안록
△ 추사체
서예, 음악, 서민문화
서예
안평대군, 양사언, 환호
△ cf. 동국진체
음악
세종
악기 개량 (by 박연)
여민락
정간보 발행
성종
악학궤범
서민문화
조선후기에 들어서 활발해짐
시사조직 ( 중인과 서민이 함께 함)
한글소설 : 허균의 홍길동전
사설시조
판소리, 탈춤, 민요
민화, 풍속화
cf. 한문학
애절양 by 정약용
허생전 by 박지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