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드
국어의 특질
음운상
음운 : 뜻을 구별해 주는 최소단위로 음소1 + 운소2 로 구성
파열음과 파찰음의 3중체계 3 : 미묘한 어감의 차이를 만들기도 하고, 뜻 자체가 달라지기도 한다.
외국어에 비해서 마찰음이 발달하지 못했다.
유음 4의 R과 L발음을 구별하지 못한다.
단모음10개 5는 외국어에 비해 많다.
모음의 길이에 따라 뜻이 달라지기도 한다.
두음법칙 : ㄹ → ㄴ , ㄴ → ㅇ, 초성에 겹자음은 올 수 없다.
음절끝소리법칙 6 : ㄱㄴㄷㄹㅁㅂㅇ 터지지 않고, 닫힌 상태로 발음
모음조화현상
모음동화 : ㅣ모음, 전설모음, 원순모음
자음동화 : 구개음화, 비음화, 설측음화, 연구개음화, 양순음화
음상이 발달하였다
어휘상
한자어가 많다
음성상징어 발달
단어 형성이 쉽다
감각어 발달 7
농사관련 어휘 발달
친족관련 어휘 발달
구문상
어순 : 주어 + 목적어 + 서술어8
장점 - 청자를 대화에 끝까지 참여
단점 - 청자가 반응할 수 있는 사고의 여유시간이 적다
어순의 이동이 가능하다.
조사, 문장성분의 생략이 가능하다.
높임법발달.
단수와 복수의 개념구분이 불명확 : 과거 공동체, 대가족제도
겹주어 가능 : 서술절
의미변화의 원인
언어적 원인
민간어원설 : 비과학적이며, 발음의 유사성을 의미변화의 원인으로 여김.
생략에 의한 의미 확장 : 아침(밥),머리(가락)
의미 축소 : 별로+(긍정, 부정) → 별로 + (부정의미)로 축소
역사적 원인
배 : 나무로 만든 것→물 위의 모든 것으로 의미확장
영감 : 대감,직위 → 노인
태양 : 해가 뜨다 → 해가 돈다
형벌 : 감옥→형무소→교도소 :: 범죄자에 대한 관점변화
나일론 : 긍정적 의미→부정적의미
효 : 과거 절대적 → 상대적 의미로 변화
사회적 원인
박사, 왕, 도사
출혈, 복음
심리적 원인
금기어 : 외포, 불쾌감, 성적표현
완곡어 : 호랑이→산신령, 구렁이→지킴이, 천연두→마마, 홍역→손님, 쥐→서생원, 똥·오줌→대변·소변, 유방→가슴
의미변화의 종류
의미확장
아침
머리
지갑 : 종이 →돈을 넣는
다리 : 유정물 → + 무정물
장인 : 기술자 → + 예술가 , 의미향상
세수 : 손 → +얼굴
박사, 왕, 도사
의미축소
얼굴 : 몸전체 → 안면
복음 : 좋은 소식 → 종교적의미
놈,계집 : 평어 → 비속어 :: 의미타락
마누라 : 상전 → 아내 :: 의미타락
중생 : 동물,사람 → 짐승(동물)
의미이동
어리다 : 어리석다 → 나이가 적다
어엿브다 : 불쌍하다 → 예쁘다
방송 : 석방 → 전파를 보내다
인정 : 뇌물 → 사람의 정
외도 : 불교 이외의 도 → 불륜
싁싁하다 : 엄하다 → 씩씩하다
품사 : 체언
품사의 정의
정의 : 같은 성질을 가진 단어들의 모임
9품사 : 명사 대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관형사 조사 수사 감탄사
체언
구성 : 명사 대명사 수사
특징 : 활용하지 않는다9, 체언은 조사와 결합한다.
어간+관형사형 어미 10다음의 의존명사는 띄어 쓴다
-대로, -만큼, -뿐 11
법대로 vs 가는 대로
공부만큼 vs 할 만큼
나뿐이다 vs 할 뿐이다
-지 12
날씨가 더운지 · 추운지, 집에 갔는지, 뭘 했는지, 가던지
그가 떠난 지가 오래다. 만난 지가 오래다.13
유정명사 : 사람 · 동물 + 에게 :: 대통령, 공무원 + 에게
무정명사 : 식물 · 사물 · 관념 + 에 :: 러시아 일본 정부 + 에
품사 : 용언
동사
특성 : 움직임
기본형 : ~다
기능 : 서술어 기능을 한다
가변어 : 모양이 문맥에 따라 변하는 가변어, 활용14한다.
형용사
특성 : 상태, 느낌, 감정
활용의 제약 : 형용사는 활용이 제약됨 15
원형 + 은 = 형용사 : 알맞다,걸맞다16 → 알맞는x 알맞은o
원형 + 는 = 동사 : 맞다17 → 는o
품사 : 용언의 활용
규칙활용
어간 + 어미 = 불변
먹+이다 · 으니 · 고
ㄹ탈락
살+니 → 사니
알+니 → 아니
울+니 → 우니
쓰+어 → 써
불규칙활용
어간 + 어미 = 가변 18
푸다 : 푸+어 → 푸었다x 펐다o :: ㅜ불규칙
곱다 : 곱+아→ 고와 :: ㅂ→ㅗ ㅂ불규칙
아름답다 : 아름답+어 → 아름다워 :: ㅂ→ㅜ ㅂ불규칙
푸르다 : 푸르+어→ 푸르러 :: ㅓ→러 러불규칙19
이르다 : 이르+어→ 이르러
걷다(걸음) : 걷+어→걸어 :: ㄷ불규칙
걷다(빨래) : 걷+어→걷어 :: x
묻다(질문) : 묻+어→물어 :: ㄷ 불규칙
묻다(매장) : 묻+어→묻어 :: x
오르다 : 오르+아→올라 :: ㅡ탈락 + ㄹ첨가 , 르 불규칙
이르다(말하다) : 이르+어→일러
바르다 :바르+아→발라
노랗다 :노랗+아→노라 :: 어간 어미 함께 변함, ㅎ불규칙20
어간 + ㄴㄹㅁ 아/어 = ㅎ탈락 21
노랗+ㄴ→노란
노랗+ㄹ→노랄
노랗+아→노래 (양성모음)
노랗+니→노라니
노랗+면→노라면
누렇+ㄹ→누럴
누렇+어→누레 (음성모음)
누렇+니→누러니
누렇+면→누러면
커다랗+아 →커다랬o, 커다랐습니다x
용언의 띄어쓰기
본용언과 보조용언 : 띄어쓰기 원칙은 다른 단어일 경우 띄어쓰나, 붙여 씀을 허용한다.
본용언과 본용언일 경우 띄어쓴다.
비가 올 듯하다 o :: 관형사형어미'올' 뒤에 띄어씀
비가 올듯하다 o :: 보조용언'듯'은 본용언'올'에 붙여씀 허용
비가 올 듯도 하다 o :: 조사'도'는 앞말에 붙여씀
비가 올 듯도하다 x :: 조사'도'는 띄어쓴다
품사 : 기타
수식언
구성 : 부사와 관형사. 부사는 용언을 수식, 관형사는 체언을 수식
특성 : 문장에서 생략가능하다
관계언 조사
격조사
주격조사 : ~이 ~가
목적격조사 : ~을 ~를
부사격조사 : ~에 ~에게
보격조사 : ~이 ~가
관형격조사 : ~의 22
서술격조사 : ~이다 23
보조사 : ~조차 ~만 ~도 ~은 ~는 ~부터
대등접속조사 : ~와 ~과
중의성을 가질 수 있다
사과와 귤 두 개를 먹었다
성분 간 호응이 맞지 않는 문장이 될 수 있다
땅과 하늘을 우러러 보다
독립언
감탄사
문장성분
주성분
주어
서술어
동사
형용사
체언+서술격조사 24
부속성분
부사어 : 용언을 수식
관형어 : 체언을 수식
하늘이 매우 푸르다. :: '매우' = 부사, 문장성분 = 부사어
보라는 아름다운 소녀이다. :: 아름답다 = 형용사, 문장성분 = 관형어
새 책을 샀다. :: 새 = 관형사, 문장성분 = 관형어
※ 관형사는 모두 관형어이지만, 관형어는 관형사가 아닐 수도 있다.
문장성분의 호응
서술어 자릿수
한 자릿수 서술어
두 자릿수 서술어 : 읽다, 적합하다,
세 자릿수 서술어 : 수여동사25 삼다, 여기다, 넣다
부사어의 호응
별로,전혀,절대로
모름지기 ~해야 한다
왜냐하면 ~때문이다
만약 ~라면
~에 대처하다 적합하다 순응하다 복종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