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드
건국준비활동
조선독립동맹
설립 - 화북지방 옌안 1912
지도자 - 김두봉, 무정
조선의용군
조선건국동맹
설립 - 국내 1944
지도자 - 여운형, 안재홍
군사조직 없음, 비밀결사
대한민국임시정부
설립 - 충칭 1940
지도자 - 김구, 김원봉
한국광복군
조선건국준비위원회
각 지부 설치
치안질서 유지
조선인민공화국선포
인민위원회 개편
안재홍 이탈
좌익중심
대한민국 정부수립
미군정
직접통치 - 인민공화국, 인민위원회, 건국준비위원회, 임시정부 모두 부정
주민재산존중 - 토지개혁 x
기존관리고용 - 친일파 청산 x
친일파는 친미적 성향을 띄게 됨
신한공사 설치 - 일본귀속재산 관리, 귀속토지 일부매각 자영농 일부 증가
화폐남발
소련의 진주
간접통치
북조선 임시인민위원회, 김일성
친일파 청산, 토지개혁 성공 1946
모스크바 3상회의 (미영소)
미소공동위원회개최, 제 정당, 단체 참여 목표
조선임시 민주주의 정부 수립 회의
최고 5년 신탁 통치하기로 회의
반탁운동
좌익 반탁 → 찬탁
우익 반탁
1차 미소공동의원회 1946.3~5
결렬
미 - 모든 단체 참여주장
소 - 찬탁세력만 참여주장
이승만의 정읍발언 국론분열 1946.6
좌익 -박헌영
중도좌익 - 여운형
중도우익 -김규식, 안재홍
우익 - 이승만, 한민당, 김구
좌우합작운동 1946.7~1947.7
김규식, 여운형 주도, 1947.7 여운형 피살
초기에 미군정의 지원받음
남조선 과도 입법의회 수립
남조선 과도 정부 수립
좌우합작 10원칙 발표
트루먼 독트린발표 47.3 - 소련과 냉전시작
2차 미소공동위원회 1947.5~7
결렬
UN 총회로 한반도 문제 이관
인구비례에 따라 남북한 총선거
유엔 한국임시 위원단 파견
소련의 유엔 위원단 입북 거부
UN 소총회
선거가 가능한 지역에서만 실시의견
남한만의 선거반대
남부협상
김구, 김규식
남북지도자 연석회의
통일정부수립 노력
제주4.3사건
5.10 총선거 실시
남한만의 선거
제헌국회
198명
2년임기
제헌절
내용
대통령 중심제
4년 중임,
국회에의한 간선제
이승만, 이시영 당선
여.순 사건 48.10.19 국보법 발의
cf.북한
북조선 임시인민위원회
북조선 노동당
북조선 인민 위원회
인민군 창설
조선 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선포 1948.9
cf. 반민특법
제헌국회에서 제정
반민특위
이승만 담화문 - 반민특위 부정
프락치 사건 - 특위위원들 구속시킴
친일파청산 완전 실패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