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드
국어의 구조
체계
음운→음절→형태소→단어→문장→단락
음운
정의
정의 : 말의 뜻을 구별해 주는 소리의 단위1
음소 : 의미를 구별해 주는 자음과 모음
운소 : 의미를 구별해 주는 고저, 장단, 강약
분절음소
기본자음 142 + 기본모음 103 = 24
된소리포함자음 194 + 이중모음포함모음 215=40
비분절음소
15c - 높낮이
현대 - 장단
자음 초성은 음운이 아니다.
자음체계도
ㅂ ㄷ ㄱ
ㅈ
ㅃ ㄸ ㅉ ㄲ
ㅍ ㅌ ㅊ ㅋ
ㅅ ㅎ
ㅆ
ㅁ ㄴ ㅇ
ㄹ
발음위치에 따라서
입술 : ㅂ,ㅃ,ㅍ
혀끝 : ㄷ,ㄸ,ㅌ
구개 : ㅈ,ㅉ,ㅊ
연구개 : ㄱ,ㄲ,ㅋ
목청 : ㅎ
발음방법에 따라서
파열 : ㅂ ㄷ ㄱ
파찰 : ㅈ
마찰 : ㅅ ㅎ
비음 : ㅁ ㄴ ㅇ
유음 : ㄹ
울림소리 : 비음,유음
비울림 : 나머지
음절
음절의 갯수
음절의 정의 : 최소 발음의 단위
모음단독 : 'ㅏ' [아] 초성의 ㅇ은 無발음, 아음절의 음운의 갯수는 1
모음+자음 : 악[악] 용[용] 종성의 ㅇ은 有발음, 음운의 갯수는 2
자음+모음 : 가[가]
자음+모음+자음 : 곰[곰] 강[강]
자음단독 : 不가능, 모음단독은 가능
음절의 초성에 들어갈 수 있는 자음 = 19 - 1 = 18
음절의 중성에 들어갈 수 있는 모음 = 21
음절의 종성에 들어갈 수 있는 자음 = 7 6
울림소리 자음 : 4 ㄴ, ㄹ, ㅁ, ㅇ
울림소리 모음 : 21
형태소
정의
정의 : 뜻을 가지고 있는 최소 언어단위
철수가 책을 읽었다.
ㅊ ㅓ ㄹ :: 음운
철,수,가, ... :: 음절
철수, 가 :: 형태소
철수가 :: 어절7
종류
자립성에 따라 : 자립형태소, 의존형태소
의미성에 따라 : 실질형태소, 형식형태소
자립형태소 : 체언, 수식언, 독립언
의존형태소 : 어간, 어미, 조사, 접사
실질형태소 : 체언, 수식언, 독립언, 어간
형식형태소 : 어미, 조사, 접사
철수가 책을 읽었다
형태소 : 철수 가 책 을 읽 었 다
자립성 : 자 의 자 의 의 의 의
실질성 : 실 형 실 형 실 형 형
단어
단어
정의 : 단어는 자립의 단위이다 : ex) 이야기책, 읽었다
단어의 종류 : 파생어, 합성어, 용언8, 조사
조사는 단어다 : 쉽게 붙기도 하고 떨어지는 분리성을 가지고 있고, 예외적으로 단어로 인정한다.
철수가 이야기책을 읽었다.
철수/가/이야기책/을/읽었다. 단어=5개
영희는 책을 집에 놓고 학교에 갔다.
영희/는/책/을/집/에/놓고/학교/에/갔다. 단어=10개
단어 띄어쓰기 : 띄어씀을 원칙으로 한다.
단어의 분류 : 단일어와 복합어로 나뉜다.
단일어
하나의 자립형태소 : 땅, 아버지, 하늘, 시나브로, ...
용언의 활용형 9 : 읽다 읽었다 읽었습니다
복합어
복합어 : 파생어와 합성어로 나뉜다.
접사
위치에 따라 : 접두, 접미사로 나뉨.
문법적관계에 따라 : 한정적, 지배적 접사로 나뉨.
한정적 : '복합어 어근' 의 품사를 유지
지배적 : '복합어 어근' 의 품사가 바뀜
단어 : 합성어
통사적 합성어
합성어 : 어근10 + 어근
명사+명사 : 돌다리, 길바닥, 손등, 봄비
관형사+명사 : 첫사랑, 이승, 저승, 새해, 새색시
어간+어미+용언
돌아가다 : 돌(다) +아 + 가다
찾아보다 : 찾(다) + 아 + 보다
스며들다 : 스미(다) + 어 + 들다
내려가다 : 내리(다) + 어 + 가다
어간+어미+명사
빈집 : 비(다)+ㄴ+집
큰형 : 크(다)+ㄴ+형
작은집 : 작(다)+은+집
조사생략 : 배부르다, 수많다, 철들다, 겁나다, 본받다, 손쉽다, 시집가다
비통사적 합성어
부사+명사
산들바람 : 산들+바람
부슬비, 척척박사
어간+용언
오르내리다 : 오르(다)+내리다
우짖다 : 울(다)+짖다
여닫다, 검붉다, 높푸르다
어간+명사
접칼 : 접(다)+칼
접바둑 : 접(다)+바닥
예시
해돋이 : (해+돋 ;합성) + 이(접사) :: 파생
첫날밤 : (첫+날 ;합성) + 밤(명사) :: 합성
떡볶이 : (떡+볶 ;합성) + 이(접사) :: 파생
손톱깎이 : (손+톱;합성) + 깎;합성 + 이(접사) :: 파생
햇빛 : 해+빛 :: 합성
해콩 : 해(거센)+콩 :: 파생
햇벼 : 파생
먹거리 : 비통사적 합성어
먹을거리 : 통사적 합성어
날고기 : 날(익지 않은, 접사) +고기 :: 파생
날짐승 : 날(날다) +짐승 ; 합성어 → 날(다)+ㄹ+짐승 :: 통사적합성어
단어 : 파생어
어근과 어간
먹었다
기본형: 먹다
어간 = 기본형 - 다 = 먹
어근 = 어간- 접사 = 먹 - (0) = 먹
먹이다
어간=먹이다 - 다 = 먹이
어근=먹이 - 이 = 먹
접두사+어근
접두사11+어근12
선 : 선머슴, 선무당 (선: 미숙한)
덧 : 덧버선, 덧저고리 (덧: 위에 씌운)
풋 : 풋사과, 풋사랑 (풋: 덜 익은)
개 : 개살구, 개소리,
돌 : 돌미역, 돌미나리, (돌: 야생의)
어근+접미사
선생님 : 선생+님
지붕 : 집+웅
마중 : 맞+웅
노래 : 놀(다)+애
우레 : 울(다)+에 우뢰(x)
바가지 : 박+아지
먹이다
읽히다
날리다
웃기다
사랑스럽다 : 사랑+스럽
여성스럽다, 복스럽다
신사답다 : 신사+답
아름답다 : 아름(안다에서 파생됨)+답
접두사+어근+접미사
헛[손]질, 군[것]질,
접두사+접미사
풋내기
문장
문장의 종류
문장 : 홑문장과 겹문장으로 이루어짐.
겹문장 : 안은문장13과 이어진문장14으로 이루어짐
홑문장
(주어 + 서술어) x 1
영희가 책을 읽었다.
영희가 책을 읽어 보았다.
이것은 책이다.
없어.
겹문장
(주어 + 서술어 15) x n
안은문장은 서술절이고,
안긴문장은 절이다
대등적으로 이어진문장
특징 : 인과관계가 없고, 순서를 바꿔도 의미가 변하지 않음
인생은 짧고 예술은 길다.
학생들이 앞문과 뒷문으로 들어왔다.
서울과 부산은 대도시이다.
영희는 국어와 영어와 한국사를 잘한다.
누나는 피아노를, 나는 태권도를 배운다.
종속적으로 이어진문장
특징 : 순서를 바꾸면 의미가 변하거나 이상해진다.
배가 고파서 식당에 갔다. :: 식당에 갔기때문에, 배가 고팠다 x
내일 비가 오더라도 산에 갈 것이다. ::산에 가더라도, 내일 비가 올 것이다 x
열심히 공부한다면 반드시 합격할 것이다.
사과를 깎아 드렸다. :: 깎아(본용언) 드렸다(본용언) ↔ 드렸고 깎다 x
밥을 먹고 잤다. :: 먹고(본용언) 잤다(본용언) ↔ 자고 먹었다 x
절
서술절
주어 + [주어+ 서술어]서술절
토끼는 앞발이 짧다. [토끼는(주어)] [앞발이 짧다.(서술절)]
할아버지께서는 시력이 좋으시다
명사절
[어간+음,ㅁ,기]명사절 + 조사
그가 천재임이 밝혀졌다. [천재(임)이]
학생이 열심히 공부함은 본분이다. [공부(함)은]
철수가 시험에 합격했음이 알려졌다. [합격했(음)이]
공부하기가 쉽지 않다. [공부하(기)가]
부사절
어간+이
비가 소리없이 내린다. [소리없(이)]
너와 달리 나는 열심히 공부한다. [달(리)]
어간+~도록
손이 발이 되도록 빌었다. [되(도록)]
어간+~게
관형절
관형어 : 체언16 앞에서 이들을 꾸며 주는 문장 성분
관형절 : 관형어의 기능을 하는 절
어간 + ㄴ, ㄹ, 던, 은/는, 을/를
네가 깜짝 놀랄 일이 생겼다. [놀(랄)] [생겼다(서술어)]
그 화가가 그린 그림이 전시되었다. [그(린)] [전시되었다(서술어)]
주무시던 아버지께서 일찍 일어나셨다. [주무시(던)] [일어나셨다(서술어)]
어제 길을 가던 그녀와 부딪쳤다. [가(던)] [부딪쳤다(서술어)]
인용절
간접인용격 조사 : [공부했다]고/는
직접인용격 조사 : " 공부했어 " 라고/라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