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드
자음
자음체계도
자음체계도 링크
7종성
종성받침 대표음 7개1
자음동화
음절의 끝소리규칙에 해당되지 않지만, 자음이 변하는 경우.
구개음화
ㄷ + ㅣ = 지
ㅌ + ㅣ = 치
해돋이[해도지] 굳이[구지]
같이[가치] 밑이[미치] 밭이[바치]
밑을[미틀] 밭을[바틀]
비음화
자음 + 자음 = [ ㅁ,ㄴ,ㅇ]
국물[궁물] 읽는[익는→잉는]
밟는[밥는→밤는] 독립문[동님문]
유음화
자음 + 자음 = ㄹ 2
신라[실라] 칼날[칼랄]
연구개음화
자음 + 자음 = ㄱ : 비표준어
숟가락 [숫까락x 숙까락x 숟까락o]
양순음화
자음 + 자음 = ㅂ,ㅁ : 비표준어
문법 [뭄법x 문법o]
신문 [심문x 신문o]
모음
모음
ㅚ [원칙 ㅚ/ 허용 ㅞ] : 외가 [외가/웨가] 최근 [최근/췌근] 참외 [차뫼/차뭬] 금괴 [금괴/금궤]
ㅖ [원칙 ㅖ/ 허용 ㅔ] : 계집 [계집/게집] 시계 [시계/시게] 혜택 [혜택/헤택]
모음동화
모음 역행동화 : 비표준어
어미 → 에미
손잡이 → 손잽이
먹이다 → 멕이다
아지랑이 → 아지랭이
가랑이 → 가랭이
예외
남비x, 냄비o / ~나기x, ~내기o 풋내기, 신출내기 / 동당이치다x → 동댕이치다 o
당기다o , 댕기다o (끌어 당기다, 불을 댕기다)
장이o , 쟁이o (기술자 미장이, 대장장이, 유기장이, 도매장이 ↔ 멋쟁이, 점쟁이, 요술쟁이, 예수쟁이, 중매쟁이, 침쟁이, 환쟁이)
모음 순행동화 : 발음은 인정
되어 [되어/되여] 피어 [피어/피여] 아니오 [아니오/아니요] 돌아가시오 [돌아가시오/돌아가시요]
겹받침
ㄼ, ㄽ, ㄾ, ㅀ
ㅂㅅㅌㅎ : ㄹ발음먼저
잃다[일타] 잃고[일코]
핥다[할따] 핥아[할타]
훑다[훌따] 훑아[훌타]
곬[골] 곬으로[골쓰로]
넓다[널따] 넓지[널찌] 넓고[널꼬]
※예외 넓+둥죽밥
넓둥글다 [넙뚱글다] 넓죽하다[넙쭈카다]
밟다 [밥따] 밟고[밥꼬] 밟지[밥찌]
ㄿ, ㄻ, ㄺ
ㅍㅁㄱ : 뒷발음
읊다 [읍따] 읊지 [읍찌] 읊고 [읍꼬]
젊다 [점따] 젊고 [점꼬]
밝다 [박따] 밝지 [박찌]
읽다 [익따] 읽지 [익찌]
늙다 [늑따] 늙지 [늑찌]
※예외 ㄺ+ㄱ
밝고 [발꼬] 읽고 [일꼬] 늙고 [늘꼬]
밝거나 [발꺼나] 읽거나 [일꺼나] 늙거나 [늘꺼나]
장단, 거센소리, 첨가
장단 발음
장음으로 발음 : 광대동이의임
광한루[광:할루] 대관령[대:괄령] 대통령[대:통녕] 동원령[동:원녕] 이원론[이:원논] 의견란[의:견난] 임진란[임:진난]
단음으로 발음 :
공권력[공꿘녁] 상견례[상견녜] 결단력[결딴녁] 생산량[생산냥]
거센소리
ㅎ + 예사 = 거센소리 or 예사 + ㅎ = 거센소리
잃다[일타] 잃고[일코] 쌓다[싿타x 싸타] 쌓고[싿코x 싸코]
맞히다[맟이다→마치다] 굳히다[궅이다→구치다] 낳고[나코]
ㄴ첨가
파생어와 합성어에 준하는 단어의 받침 + 이 어 요 야 유 + ㄴ첨가 : 니 녀 뇨 냐 뉴
파생어와 합성어 링크
이 : 솜이불[솜니불] 홑이불[혿니불→혼니불] 막일[막닐→망일] 삯일[삭닐→상닐]
여 : 한여름[한녀름] 신여성[신녀성]
뇨 : 눈요기[눈뇨기]
여 : 늑막염[늑막념→능망념] 학여울[학녀울→항녀울] 색연필[색년필→생년필]
ㄹ첨가
압부분 받침이 ㄹ 일 경우 + 이 어 요 야 유 + ㄹ첨가 : 리 려 료 랴 류
이 : 설익다[설닉따→설릭따]
유 : 휘발유[휘발뉴→휘발류]
야 : 물약[물냑→물략] 알약[알냑→알략]
예제
대전역 3
서울역 4
3연대 5
1연대 6
옷 입다 7
잘 입다 8
ㄴ첨가 o / 연음 o
금융[금늉/그뮹] 검열[검녈/거멸] 이죽이죽[이죽니죽/이주기죽]
예외 : 첨가x / 연음o
분열 담임 활용 굴욕 송별연 절약9
함유 월요일 목요일 금연 6.25 등용문10
연음
자음의 명칭 연음
자음의 명칭 + 모음조사는 연음한다
ㄱ : 기역 + 이/을 = [기여기/기여글]
ㄴ : 니은 + 이/을 = [니으니/니으늘]
ㄷ : 디귿 + 이/을 = [디그시/디그슬] 예외:다자차카타하
ㅈ : 지읒 + 이/을 = [지으시/지으슬]
ㅎ : 히읗 + 이/을 = [히으시/히으슬]
ㅍ : 피읖 + 이/을 = [피으비/피으블]
형식형태소
형식형태소 11는 연음한다
꽃이[꼬치] 꽃을[꼬츨] 꽃에서[꼬체서]
부엌이[부어키] 부엌을 [부어클] 부엌에서[부어케서]
무릎이 무릎을 무릎에서
빛이 빗이 빚이
닭이[달기] 닭을[달글 ]닭이다[달기다]
흙이[흘기 ]흙을 [흘글] 흙이다[흘기다]
실질형태소
대표음으로 바꾼후, 연음한다
꽂 안[꼳 안→꼬 단] 흙 위[흑 위→흐귀] 젖어미[젇어미→저더미]
늪 앞[늡 압→느밥] 헛웃음[헏 웃음→허두슴]
주의사항
※주의 (복수발음 허용)
맛있다[맏 있다→맏 읻다→마 딛따] 원칙적, [마싣따] 허용
멋있다[머딛따o 머싣따o ]
값있다[갑 읻다→가빋따] 값있는[가빈는]
값어치[가버치] 값이[갑시→갑씨] 값을[갑쓸]
사잇소리
울림소리 + 예사
울림소리 + 예사 [된소리로 발음될 경우]
자음울림소리 + 예사 [된소리]
봄+비[봄삐] 손+등[손뜽]
길+바닥[길빠닥] 산+길[산낄]
모음 + 예사 [된소리]
초+불[초뿔] 12 배+사공[배싸공]13
나루+배[나루빼] 14 선지+국[선지꾹]15
사이+소리[사이쏘리] 16
합성명사
모음 뒤 and 합성명사 and 하나 이상이 우리말
국 : 선짓국, 김칫국, 두붓국, 북엇국
집 : 외갓집, 처갓집, 소줏집, 맥줏집, 전셋집, 횟집, 부잣집
길 : 갓길, 고갯길, 등굣길, 휴갓길, 성묫길, 귀갓길, 기찻길
빛 : 햇빛, 장밋빛, 무지갯빛, 연둣빛, 보랏빛, 우윳빛17
돈 : 세뱃돈, 전셋돈, 부좃돈,
값 : 전셋값, 최댓값, 최솟값, 유횻값,
etc : 장맛비, 꼭짓점, 신붓감, 핏기, 자릿세
미첨가
한자어만 인 경우 ㅅ 첨가하지 않는다
내과, 외과, 치과
대가(댓가x) 소수(솟수x) 마구간(마굿간x) 기차간(기찻간x)
수라상(수랏상x) 화병(홧병x) 시가(싯가x) 제상(젯상x)
예제
예사소리발음 : 효과, 교과서, 김밥, 불법, 관건, 간단
중요 : 머리로 인사를 예사로 한다
머리기사 인사말 예사말[예사말] 18
전세집x 전세방o 사글세방x 머리말o
전셋집o 전셋방 x 사글셋방o 머릿말x
ㅅ첨가
모음 + [발음 ㄴ첨가 될 경우] : ㅅ 첨가
나무+잎[나문닙] → 나뭇잎
계+날[곈날] → 곗날
단오+날[단온날] → 단옷날
후+날[훈날] → 훗날
예외 : 숫자, 횟수, 곳간, 찻간, 툇간, 셋방
뒤뜰o 뒤꿈치o 뒤꽁무니o 뒤풀이o 해님o
뒷뜰x 뒷꿈치x 뒷꽁무니x 뒷풀이x 햇님x
된소리되기 vs 사잇소리
안울림소리 + 예사 = [된소리로 발음] : 국밥[국빱] 꽃집[꼳찝]
용언의 활용형
읽다[익따] 읽고[일꼬] 밟다[밥다→밥따]
더듬다[더듬따] 더듬고[더듬꼬] 신다[신따] 신고[신꼬]
헷갈리는 단어
개,게,계
계 : 핑계
게 : 게시판, 휴게실, 게딱지, 게거품
개 : 찌개, 육개장, 닭개장
ㅢ[의/이/에]
초성이 자음일 경우 [ㅣ] : 희망[히망] 무늬[무니] 늴리리[닐리리] 닁큼[닝큼]
초성이 ㅇ일 경우 [의] : 그러나 [의]가 둘째음절 이하일 경우 [ㅣ]허용
의사[의사]
강의[강의/강이]
조사 [에] 허용
우리의[우리의/우리(조사)에]
민주주의의 의의 : [민주주의,민주주이/ 의,에 / 의의, 의이]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