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드
침탈과정
시대구분
1876 강화도조약
1882 임오군란
1904 러일전쟁
1910 국권피탈
1876 일본
약탈적 무역
미면교환체제(중계무역)
거류지무역(10리제한)
국내토착상인(중개무역)
상권수호운동 미비
쌀값폭등, 방곡령 실시안됨
1882 일본vs청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
조일통상장정
내지통상권 허용↔상권수호운동시작
철시투쟁
방곡령 실시 1889,1890
반일감정고조
상회사설립 1883 (대동상회,장통회사)
보부상(혜상공국 설립 1883)
경강상인의 증기선구입
1894 열강의 이권침탈
일본산 면제품 ↔ 저항
시전상인 - 황국중앙총상회 1898
보부상 - 황국협회 1898
만민공동회 - 이권수호운동
동학농민 - 활빈당, 영학당
광무개혁 - 식산흥업
은행설립
조선은행 - 관료중심 1896
한성은행, 천일은행 1897
화폐정리사업으로 몰락
이권침탈, 광산
운산금광 - 미국
은산금광 - 영국
직산금광 - 일본
전기,전등,전화,전차 - 미국
한성전기회사(황실 + 콜브란)1898
서대문에서 청량리까지 운행 1899
전보,전신
서울에서 의주까지 1885 - 청
서울에서 인천까지 1885 - 청
서울에서 부산까지 1885 - 일본
부산에서 일본 1884 - 일본
철도
경인선 미 → 일 1896 완공 : 1899
경의선 프 → 일 1896 완공 : 1906
경부선 일 → 일 1898 완공 : 1905
경원선 일 → 일 1904
1904 일본독점
황무지개관권요구 1904 - 보안회가 저지함
화폐정리사업 1905
철로건설
정부가 日에 철도부지 무상 제공
정거장 부지, 군용지
반대운동
의병운동
국채보상운동 1907
대구에서 서상돈, 양기탁, 언론의 홍보증대,
통감부의 방해로 실패
식민지 경제수탈
무단통치기
소금, 담배 - 전매제
회사령 - 허가제, 민족기업 설립제한
토지조사사업
탁지부 산하의 토지조사국이 조사함
근대적 토지소유권 확립
지세확보, 토지약탈
기한부 신고제 - 미신고지, 국공유지 약탈
토지조사사업 결과
식민지 지주제 형성 (신분예속)
관습적 경작권 부정 - 농민의 기한부 소작농으로 전락
토지약탈 → 동양척식주식회사가 먹음 1908
문화통치기
회사령 폐지, 신고제로 변경
관세 철폐 1923
新은행령 1927
日대기업 진출 발판
↕
물산장려운동
1920 평양, 조만식 주도
언론 홍보로 전국확산됨
유사단체인 자작회도 참여
토산품 가격 급증 - 사회주의자들에게 비판받음
산미증식계획 1920~1934
증산방법
밭→논으로 변경
품종개량
화학비료(금비)사용증대
목표량은 미달, 수탈량은 증대
결과
국내 쌀 부족, 만주에서 잡곡 수입
농민 몰락
소작쟁의 증대 - 日의 농촌진흥운동(눈속임)
1930 초반
남면북양정책
병참기지화
산미증식계획 진행
중일전쟁이후
산미증식계획 재개 - 공출 + 배급제
가축증식계획 병행
금속공출
인적자원 수탈
징용제, 지원병, 징병제, 학도병, 정신대, 위안부
몸빼장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