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드
19c 조선후기 사회
일반
예언사상
천주교
동학 1860 → 천도교 1905
☞ 평등의식 확산
조미수호통상조약1882 을 통해 개신교 선교사 입국
교육 : 배제학당, 이화학당, 경신학교, 정신여학교, 숭실학교
의료 : 광혜원 1885 → 제중원으로 개명 1886
천주교 → 고아원, 양로원 등 사회사업 위주
평등 사회로의 지향
공노비 해방
갑신정변 → 인민평등권
노비세습제 폐지 1886
동학농민운동 1894 신분제폐지 요구 - 교정청설치, 폐정개혁안12개조, 전라도 지역 집강소설치
갑오개혁에서 공사노비제도 신분제 폐지
호구조사규칙 1896에 신분대신에 직업기록시작
☞ 신분제폐지는 민권의식의 확립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민권의식 확립 위한 활동으로 독립협회, 찬양회, 애국계몽운동 등의 노력이 있다.
독립협회 - 민중대회에 시전상인이 의장, 백정출신 박성훈이 연사로 등장
갑신정변, 동학, 갑오개혁 공통점
신분제 폐지
조세제도개혁
관리등용방법개선
신민회
교육장려
민주주의 사상고취 (공화정)
1920 문화통치기
민족주의
실력양성운동
교육 : 민립대학 설립운동 → 일본의 경성제국대학1924으로 실패
산업 : 민족기업 설립 증가 → 물산장려운동
분열
타협적민족주의 : 참정론, 자치론,
비타협적민족주의 :
사회주의
조선공산당
치안유지법 1925
6.10 만세운동
좌우익의 연대 필요성
조선민흥회
정우회 선언 : 기회주의배격
신간회 1927~1931
이상재, 홍명희
전국지부설치
토론회 연설회 개최
노동, 농민운동 지원
광주학생항일운동 지원
노동, 농민운동
분화과정
농우회 + 조선노동공제 → 조선노동총동맹 1924 → 조선농민 총동맹과 조선노동총동맹으로 분리 1927
참고. 신간회 1927~1931 노동,농민운동 지원
농민운동
1920 생존권투쟁 - 암태도 소작쟁의 1923
1930 정치적 항일투쟁 - 불이농장 소작쟁의
日의 농촌진흥운동
1932~1940
조선농지령
소작쟁의 방지 목적
사회주의확산방지 목적
노동운동
1920 생존권투쟁 - 원산 노동자총파업1929 : 정치적항일투쟁 성격
1930 비합법적 지하노조운동 : 항일투쟁 성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