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드

  • 근대의 사회

    Posted in 국사/근대

    2016. 1. 12. 16:22

    19c 조선후기 사회

    일반

    예언사상

    천주교

    동학 1860 → 천도교 1905

    ☞ 평등의식 확산

     

    조미수호통상조약1882 을 통해 개신교 선교사 입국

    교육 : 배제학당, 이화학당, 경신학교, 정신여학교, 숭실학교

    의료 : 광혜원 1885 → 제중원으로 개명 1886

     

    천주교 → 고아원, 양로원 등 사회사업 위주

     

    평등 사회로의 지향

    공노비 해방

    갑신정변 → 인민평등권

    노비세습제 폐지 1886

    동학농민운동 1894 신분제폐지 요구 - 교정청설치, 폐정개혁안12개조, 전라도 지역 집강소설치

    갑오개혁에서 공사노비제도 신분제 폐지

    호구조사규칙 1896에 신분대신에 직업기록시작

    ☞ 신분제폐지는 민권의식의 확립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민권의식 확립 위한 활동으로 독립협회, 찬양회, 애국계몽운동 등의 노력이 있다.

    독립협회 - 민중대회에 시전상인이 의장, 백정출신 박성훈이 연사로 등장

     

    갑신정변, 동학, 갑오개혁 공통점

    신분제 폐지

    조세제도개혁

    관리등용방법개선

     

    신민회

    교육장려

    민주주의 사상고취 (공화정)

     

    1920 문화통치기

    민족주의

    실력양성운동

    교육 : 민립대학 설립운동 → 일본의 경성제국대학1924으로 실패

    산업 : 민족기업 설립 증가 → 물산장려운동

    분열

    타협적민족주의 : 참정론, 자치론,

    비타협적민족주의 :

     

    사회주의

    조선공산당

    치안유지법 1925

    6.10 만세운동

    좌우익의 연대 필요성

    조선민흥회

    정우회 선언 : 기회주의배격

     

    신간회 1927~1931

     

    이상재, 홍명희

    전국지부설치

    토론회 연설회 개최

    노동, 농민운동 지원

    광주학생항일운동 지원

     

    노동, 농민운동

    분화과정

    농우회 + 조선노동공제 → 조선노동총동맹 1924 → 조선농민 총동맹과 조선노동총동맹으로 분리 1927

    참고. 신간회 1927~1931 노동,농민운동 지원

     

    농민운동

    1920 생존권투쟁 - 암태도 소작쟁의 1923

    1930 정치적 항일투쟁 - 불이농장 소작쟁의

    日의 농촌진흥운동

    1932~1940

    조선농지령

    소작쟁의 방지 목적

    사회주의확산방지 목적

     

    노동운동

    1920 생존권투쟁 - 원산 노동자총파업1929 : 정치적항일투쟁 성격

    1930 비합법적 지하노조운동 : 항일투쟁 성격

     

    댓글

  • Total :
  • Today :
  • Yesterday :
  • Powered by Tistory
  • Copyright © 2014 9grade v1.0424, someday shining light will come
  • Admin
  • Write
  • Modify
  • Outline
  • Dic
  • Set
  • Share
  • Top
  • K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