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드

  • 근대의 문화

    Posted in 국사/근대

    2016. 1. 12. 16:25

    근대교육

    1880

    원산학사 1883

    함경도 덕원주민이 설립

    최초의 근대적 사립학교

    근대교육과 무술교육 병행

    ※ 고구려 경당도 무술교육 병행,

    동문학 1883

    통역관 양성소

    육영공원 1886~1894

    상류층 자제교육(양반자제)

    미국인 교사초빙 - 길모어, 번커, 헐버트

    연무공원 1888 - 미국인 교관초빙, 군관학교

    선교사에 의한 학교

    배재학당, 이화학당, 경신학교,

    1890

    교육입국조서 1895

    한성사범학교

    한성소학교

    근대적 교과서 개편

     

    광무개혁 1897

    식산흥업정책으로 실업학교 설립

    한성중학교 1900

     

    선교사에 의한 학교 - 숭실학교, 정신여학교

     

    1900

    애국계몽운동 ( 을사늑약 전후 )

    사립학교운동 - 대성학교, 오산학교

     

    ※ 정미7조약으로 日의 차관설치

    사립학교 령 1908

    사립학교 규칙 1911 - 사립학교 탄압

     

    1910

    개량서당운동 - 日의 서당규칙1918로 탄압

     

    1920 ~ 1930

    야학운동 - 학생주도

    조선교육회 - 민립대학설립운동

    문맹퇴치운동

    언론주도

    조선일보 - 한글원본 발간 1929~1934

    동아일보 - 브나로드 운동 - 농촌계몽운동 1931~1934

     

    식민지 교육정책

    1차 조선교육령 1911

    사립학교령 1908

    사립학교규칙 1911

     

    교원의 칼,제복 착용

    일본어 보급 목적

    대학, 사범학교 부재

    명칭,연한 차별 - 韓 보통학교 4년, 日 소학교 6년

     

    2차 조선교육령 1922

    교원 칼,제복 폐지

    韓 민립대학 설립운동 vs 日 경성 제국대학 설립으로 방해1924

    명칭차별 韓 보통학교 vs 日 소학교

    연한 6년으로 통일

    조선어 필수 과목지정, 수업시수 감소

     

    3차 조선교육령 1938

    심상소학교령

    조선의 수의과목화 - 사실상 금지

    교육기관 명칭 통일 - 소학교

     

    국민학교령 1941 - 황국신민학교 (국민학교)

    4차 조선교육령 1943

    대학의 문과 축소

    국민학교의 의무교육 시도

    학교에서 학생들을 전쟁물자 채취 강제동원

    조선어 전면금지

     

    역사왜곡

    임나일본부설 - 일선동조, 내선일체

    반도성론 - 지리적 숙명론 = 타율성론

    당파성론 - 민족성 폄하

    정체성론 - 중세부재론

     

    친일단체 : 조선사편수회 → 청구학회

    ※ 마르크스의 유물사관

     

    반식민사학

    민족주의사학

    신채호

    고대사 연구와 계몽사학, 독사신론

    조선사연구초

    조선상고사 저술

    '아'와 '비아'의 투쟁

    1천년이래 제1대 사건 - 묘청의 서경천도운동

    왕조중심의 사관 극복

    낭가사상

    조선혁명선언 1923

    무정부주의자, 뤼순감옥에서 순국

     

    박은식

    계몽사학, 조선광문회

    현대사연구

    한국통사, 한국독립운동지혈사 저술

    '나라는 형이요, 역사는 혼이다' - 혼사상

    임시정부 2대 대통령

     

    그 밖의 인물

    정인보 - '얼'사상,

    문일평 - '심'사상,

    안재홍 - 조선학 연구

     

    한계점 : 관념사학, 실증성 결여

     

    사회경제사학

    백남운, 서청원

    조선사회 경제사

    정체성론 비판 - 아시아적 봉건제도 존재

     

    한계점 : 지나친 도식화, 특수성 무시

     

    실증주의 사학

    이병도, 손진태 (친일참여)

    역사연구의 실증성, 객관성 강조

    진단학회 설립 1934, 친일 청구학회 비판기능

     

    한계점 : 식민지배 현실에 도움되지 않음

     

    애국계몽운동 (을사늑약 전후)

    역사

    계몽사학 - 신채호, 박은식

    영웅전 소개, 외국흥망사 소개

    조선광문회 - 민족고전정리, 박은식, 최남선

    신민회와 연계활동

    ※ 신채호 - 독사신론 : 역사연구의 새로운 방향제시

     

    국어연구

    국문연구소 1907

    지석영, 주시경

    국어문법

    조선어 연구회 1920

    최윤배

    '한글' 잡지 간행

    '가갸날' 제정

    조선어 학회 1931~1942

    '한글' 속간

    우리말 큰사전 편찬시도, 1957 완성

    외래어표기법

    한글맞춤법 표준안 제정

    표준어 제정

    조선어 강습소 발각 해체 - 조선어학회사건 1942

     

    참고

    국한문혼용체

    한성주보 1886~1888

    감오개혁 이후 일반화됨

    유길준 - 중립화론, 서유견문 1895

    순한글체 - 독립신문, 제국신문, 대한매일신보

    문화 종교

    근대건축물

    독립문 1897

    명동성당 1898

    원각사 1908

    단성사 - 아리랑상영(나운규)

    덕수궁 석조전 1910

     

    문학

    신소설 - 혈의누, 자유종, 금수회의록

    신체시 - 최남선 : 해에게서 소년에게

    번역작품 - 천로역정, 이솝우화

     

    예술

    서양음악이 창가로 변화 - 애국가, 독립가, 권학가

    연극 - 원각사 1908 : 최초의 서양식 극장, 은세계, 치악산

    미술 - 서양화법 대두

     

    종교

    천주교 - 사회사업에 기여

    개신교 - 교육, 의료

    천도교

    동학으로 개칭

    이용구 - 시천교 창시 후, 친일 일진회 가입 1904~1910

    손병희 - 천도교로 개칭 1905

    만세보 1906

    대종교

    나철 창시 1909, 오기호

    단군 숭상

    만주에서 주요 활동

    중광단

    무오독립선언 발표 1918

    북로군정서로 개편

    불교 - 조선불교 유신론 : 한용운

    유교 - 유교구신론 : 박은식

    댓글

  • Total :
  • Today :
  • Yesterday :
  • Powered by Tistory
  • Copyright © 2014 9grade v1.0424, someday shining light will come
  • Admin
  • Write
  • Modify
  • Outline
  • Dic
  • Set
  • Share
  • Top
  • Ke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