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드
북한의 정권수립
북한 정부수립 과정
북조선 임시 인민위원회
토지개혁 단행 - 무상몰수 무상분배, 5정보 제한
친일파 청산
북조선 노동당 창당
임시 인민위원회 → 북조선인민위원회로 개칭 + 인민군 창설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1948.9
갑산파 (김일성)
소련파 (허가이)
연안파 (김두봉)
남로당 (박헌영)
→ 6.25 전쟁 → 8월 종파사건 1956 (소련파, 연안파 제거) → 갑산파 권력장악
경제개발
경제개발 3개년 계획 → 전후복구사업
경제개발 5개년 계획 - 모든 농장의 국유화, 사유재산 부정
천리마 운동 1956 - 3대 혁명 운동 (사상, 기술, 문화)
정치변화
사회주의 헌법 1972 - 주석, 주체사상 명시
남한 : 유신헌법
3대 혁명 소조운동
후계자 양성 - 김정일
김정일
국방위원장 93
유훈통치
김일성 헌법 98
주석직 폐지
경제변화
합영법 1984, 남한에 쌀 지원, 이산가족 상봉 1985
남북동시유엔가입, 남북기본합의서 채택
나진, 선봉 개방 1991
외국인 투자법, 합작법 제정
한반도비핵화 공동선언 1992
IAEA 시찰 → NPT 탈퇴
북미제네바 기본합의서 1994
남한의 햇볕정책의 영향으로
대북지원
금강산 관광
남북정상회담
그외
9.11 테러 → 악의축 발언 → 북한 NPT 탈퇴
6자회담 진행중
통일을 위한 노력
이승만 정권
멸공통일론
조봉암의 평화통일론
장면 내각
소극적 노력
인구비례 총선거론
학생, 지식인 중심
중립화통일론, 남북협상
구호 : 가자 북으로, 오라 남으로
박정희 정부
3공화국
선건설 후통일론
반공을 국시로 삼음
냉전완화 추세
닉슨독트린 1969
4공화국
남북적십자회담 1971
이산가족상봉 논의
p4상봉(1985 전두환정권, 2000 김대중 정권)
7.4 남북공동성명
자주·평화·민족적대단결
남북조절위원회 결성→ 양국간 독재체제 강화로 악용됨
전두환 정권
이산가족상봉 시행
노태후 정권
남북유엔 동시가입
남북기본합의서
양국은 특수관계, 상호불가침조약
한반도 비핵화 공동선언
김영삼 정권
한민족 공동체 통일을 위한 3단계 방안
민족단계 · 과도단계,연합단계 · 통일수립단계
김대중 정권
최초 남북정상회담
6.15 남북공동성명
남한의 연합제 vs 북한이 연방제
노무현 정권
2차 남북정상회담
10.4 남북공동성명
6.15 남북공동성명의 구체화
px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