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드
국가발전단계
과정
중앙집권화 : 군장국가 → 연맹왕국 → 중앙집권국가 → 고대국가
참고 : 중국의 역사1
국가발전과정
왕위세습 : 중앙집권화기틀마련
k 태조
b 고이
s 내물
왕위부자세습
k 고국천
b 근초고
s 눌지
불교수용
k 소수림_전진
b 침류_동진
s 눌지_고구려
s 법흥_이차돈순교 : 불교식 왕명 2
※ 동진,전진3
율령반포
b 고이
k 소수림
s 법흥
영역국가형성 : 한강차지, 영토확장, 삼국항쟁 시작
b 근초 4c
k 소수림·장수 5c
s 법흥·진흥 6c
통치체제정비
관등 : k 10 b 16 s 17
수상 : k 대대로4 b 상좌평 s 상대등
귀족회의 : k 제가회의 b 정사암회의 s 화백회의5
중앙, 지방 : k 5부 5부(욕살) b 5부 5방(방령) s 6부 5주(군주)6
가야
전기가야 연맹 성립
성립 : 변한에서 가야 연맹으로 2~3c
맹주 : 금관가야, 김수로
위치 : 김해, 낙동강, 농업발달, 철 수출
유적 : 대성동 고분
멸망 : 법흥왕의 공격으로
전기가야 연맹 해체
AD400 금관가야 쇠퇴 by 광개토7
유물·유적 : 호우명그릇, 광개토대왕릉비8
후기가야 연맹성립
성립 : 5c이후
맹주 : 대가야 중심
고령 : 농업발달, 철 생산多
유적 : 지산동고분
멸망 : 신라와 혼인동맹체결, 滅亡 by s진흥 6c9
※ 가야의 영향10
삼국의 항쟁
백제
마한 54 : 목지국왕, 온조가 위례성에 백제건국
고이왕3c
한강장악, 마한 정복한 것은 아님
율령반포, 관등정비(16),
왕위세습, 부자세습아님
공복제정
고구려
태조왕1~2c : 옥저복속, 왕위세습 중앙집권화
고국천왕2c : 왕위부자세습, 행정적5부로 개편, 진대법11
동천왕3c : 위 관구검의 침입, 위기 밀우와 유유의 활약
미천왕4c : 서안평 점령, 낙랑군 축출313
백제 전성기
근초고왕4c
마한전체병합, 왕위부자세습
요서 산둥지방 일본규슈지방 해상권장악, 평양성공격, kill 고국원왕
고구려 전성기
고국원왕 전사4c by 근초고
소수림왕 4c
불교수용, 율령반포, 태학설립12
광개토대왕 4c말~5초
만주장악, 신라침입왜구격퇴400
독자적연호 영락, 한강이북 차지
장수왕 5c
남진정책 평양성천도
중국의 남북조와 교류
한강 완전 차지 중원고구려비 건립
광개토대왕릉비 건립
s, b : 한강피탈된 후, 나제동맹체결, 눌지왕 and 비유왕
백제의 위기
개로왕 위기 : 북위13에 국서보냄, 戰死 by 장수왕,
문주왕 : 웅진천도 to 공주
동성왕 : 신라(소지마립간)와 혼인동맹
무령왕 : 22담로 설치 왕족파견 중앙집권화 시도, 남조와 교류증대
성왕
남조와 교류지속, 남부여로 국호개칭, 사비천도, 관청 22부 설치
신라진흥왕과 군사동맹체결
한강일시 회복 but 신라배신 관산성전투에서 戰死
신라의 위기
내물왕4c~5c초 왜구침입,
400광개토원조 고구려내정간섭
눌지왕
나제동맹체결
신라 전성기
지증왕
국호변경 : 사로국→신라
주군제도 정비, 우산국정벌(獨島), 우경장려
왕호 王사용 cf 신라 왕호변천14
법흥왕
병부설치, 독자적연호사용 건원15 : 내정간섭 탈피
율령반포, 불교공인, 금관가야 정벌, 복색제정
골품제정비
진흥왕
독자적연호사용 개국, 대가야정벌 창녕비건립
한강 독점, 중국과 직접교류 可能 , 화랑도 개편
cf 비석16
삼국의 통일
과정
삼국의 항쟁→고구려 위기→신라의 위기→중흥정치(성왕, 진흥왕)
십자형외교
6c후반~7c전반
남북세력 : 돌궐 고구려 백제 왜
동서세력 : 신라 수.당
수와 고구려 전쟁 612
고구려 선제공격, 수의 113만 대군 침입
우중문의 30만 별동대, 을지문덕 오언시
살수대첩, 수멸망
천리장성 축조17
당과 고구려 전쟁 645
당의 고조 : 고구려와 친선관계 유지, 포로교환
당의 태조 : 강경책, 연개소문의 강경책, 천리장성 축조
당의 침입 : 요동성, 백암성 함락, 안시성전투18
나.당 연합군
백제의 공격, 신라 대야성 함락
김춘추는 고구려에 도움요청, 거절당함
나.당 연합군 648
→백제 멸망 660
나.당 연합군의 공격, 황산벌전투 계백 패배, 수도함락, 멸망
부흥운동: 주류성과 임존성 복신, 도침, 흑치상지, 일본의 지원, 백강전투서 패배
→고구려 멸망 668
국력쇠퇴, 수.당 전쟁과 지도층 분열
나.당 연합군의 공격, 멸망
부흥운동 건모잠, 고연무 안승19 나당연합결렬 후 신라의 지원으로 나당전쟁 합류
→당의 야욕
당의 안동도호부, 웅진도독부, 계림도독부 설치
→나당전쟁
옛 고구려, 백제의 유민 합류
당과의 전투 (매소성, 기벌포전투)
→삼국의 통일 676
의의: 최초의 통일, 민족문화 발전기틀 마련, 나당전쟁의 자주성
한계: 통일 과정에서 외세에 의존, 대동강~원산만 이남의영토차지
→발해건국 698
통일신라의 발전
통일신라 시대구분
삼국사기
상대 내물왕계 성골
중대 무열왕계 진골
하대 내물왕계 진골
삼국유사
상고
중고 법흥왕~진덕여왕
하고
신라중대의 왕들
무열왕
태종 무열왕 김춘추
집사부의 시중의 기능강화
갈문왕제도를 폐지20
문무왕
삼국통일676
수중릉에 안치
신문왕
김흠돌의 난 진압
전제왕권 확립
군사조직 정비
중앙군 9서당 , 민족융합책의 일환이었다. 옛 고구려, 백제인 수용과 신라관등 부여
지방군 10정
지방행정 정비
5주→9주
2소경→5소경
국학 설치, 인재양성책
관료전지급 21, 녹읍폐지22 → 국가의 토지23지배력 강화됨
만파식적
성덕왕
정전 지급, to 백성→백성의 소유권 인정
경덕왕
집사부의 중시를 시중으로 이름바꿈
녹읍부활757
국학의 명칭을 태학으로 변경
혜공왕 피살 780 신라下代로 진입
신라하대
전제왕권 붕괴
왕위 쟁탈전
김헌창의 난, 김범문의 난
장보고의난
진골귀족의 수탈심화, 사치와 향락, 대토지 소유
독서삼품과 실시 24
지방세력 성장
호족 25
성주, 장군으로 자칭, 독립세력으로 성장
6두품의 반신라경향 증대
최치원, 토황소격문 작성, 시무10조 건의, 유랑생활, 4산 비명 건립 도교적
최승우, 후백제 원조
최언위, 후고구려 원조
호족과 結탁
후삼국시대
후b : 900 견훤, 완산주 , 내분, 견훤투항, 신검부대 패배936
후k : 901 궁예, 송악→고려918, →936 중세의 시작
후k : →마진→태봉(철원)→고려918 , s경순왕귀속935
6두품
전제왕권강화에 기여
강수 , 외교문서에 能, 답 설인귀 作성
설총 , 화왕계
중세의 시작
새로운 지배층 등장, 호족↔신라 골품제
개방적 사회로 진입, 과거제도 실시↔폐쇄적 신분제
발해건국과 발전
건국
발해 건국 : 698~926
대조영 건국
구성 : 지배층 고구려인, 다수 말갈인
멸망
926 거란의 침입으로 멸망
cf 수도천도26
고구려 계승증거
지배층이 고구려인이었다
일본에 보낸 외교문서 : 고려국왕 칭호
고구려와 문화적 유사성 27
vs 당의 영향을 받은 문화 28
대외관계
고왕
대조영 발해건국, 옛 고구려 영토 대부분 회복, 연호사용 (천통)
무왕
당, 신라와 적대, 돌괄과 일본 친선
대외정세상 발해 너머의 흑수부 말갈족이 당과 직접교류하려는 움직임
장문휴 장군이 당의 산둥반도 공격
연호사용 (인안)
문왕
당과 친선관계, 당으로부터 선진문물 도입
신라도 개설
연호사용 (대흥)
선왕
연호사용 (건원)전성기, 해동성국
요동반도 완전 장악, 신라와 국경 확정
5경 15부 62주 , 지방행정 정비
통치기구
3성6부
정당성
6부
좌사정
충(이) 인사
인(호) 재정
의(예) 교육
우사정
지(형) 치안
의(병) 국방
신(공) 건설통신
선조성
중대성
기타사항
etc
남북국시대
신라 중대, 하대 → 고려(고구려계승) 거란에 적대
발해 (고구려계승) 거란에 멸망926
6두품
정치적 제약을 받음
중앙장관, 시중 불가
지방장관, 도독 불가
신라中代 전제왕권에 기여, 下代 반신라 세력
농민봉기
원종 애노의 난 - 신라하대 농민 최초봉기
적고적의 난
신라도
상경 → 동경 → 남경 → 경주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