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드
역사란 무엇인가
선사 : 역사 이전시대
역사
역(흐름) 사(기록), 우리나라는 철기부터 문자가 쓰였을 것으로 추정
사실로서의 역사
객관적 사실
랑케
실증주의 사관
"역사가는 자기 자신을 죽이고"
기록으로서 역사
주관개입, 의미부여, 재해석, 역사는 해석에 따라 변한다
EH 카 : "역사란 과거와 현재의 끊임없는 대화"
유득공 : 발해고, "남북국시대"
한국사
보편성 : 자유·평등·민주·평화
특수성 :
유교문화 : 충·효 강조
협동정신 : 두레, 계, 향도
호국불교 : 대장경, 별무반1
구석기
자연경제
사냥, 어로, 채집으로 먹이 획득
도구 :
뗀석기
사냥용 : 찍개, 찌르개, 슴베찌르개, 주먹도끼-연천전곡리2
조리용 : 긁개, 밀개
이동생활
서식지 : 막집, 동굴, 바위그늘, 강가
빙하기 : 우리나라 직접조상 아님
직조생활이 아님, 의복이나 그물제작 못함
전기
특징 : 하나의 몸틀 → 다용도
유적지
단양 금굴 3
공주석장리 4
연천 전곡리 5
상원 검은모루동굴
제천 점말 동굴
중기
특징 : 하나의 돌날격지 → 하나의 용도
유적지
웅기 굴포리
덕천 승리산 동굴
단양 상시 동굴
상무룽지
후기
특징 : 쐐기사용 6
유적지
제주 빌레못
제천 창내
단양 수양개
종성 동관진 7
그 밖에
진뉴산 동굴
창원 두루봉 동굴
중석기
날씨 온화 작고 날쎈 짐승 출몰
활 이음도구, 잔석기
유적지
평양 만달리
웅기 부포리
통영 상노대도
거창 임불리
신석기
생산경제
농경 목축시작 : 조·수수 8
신석기혁명
잉여생산물은 없다
사유재산 없다
평등사회
지도자는 있지만, 지배자는 없는 상태
도구
간석기 : 돌괭이, 돌삽, 돌낫, 돌갈판
토기 : 빗살무늬 토기, 이른민무늬, 덧무늬, 압인문, 덧띠 새김무늬
정착생활
움집
강가, 해안가9
청동기
도구
거친무늬거울
비파형 동검 : 무기, 제사, 의식용
농기구 : 간석기 - 반달돌칼, 바퀴날 도끼
토기 : 민무늬, 미송리식, 붉은간, 덧띠새김무늬
주거 : 움집, 배산임수취락
무덤 : 고인돌, 돌널무덤, 돌무지무덤
벼농사 시작
잉여생산물 발생
사유재산 발생
계급발생 : 배산임수취락, 고인돌, 선민사상
정복전쟁 발생
남녀역할분화 : 가부장적사회로 진입
예술활동
울주 반구대 암각화
고령 알터바위그림 : 동심
철기
도구
잔무늬거울
세형동검 : 제사의식용, 청동기의 의기화, 거푸집(독자적), 한국식
농기구 : 철제농기구, 우경, 심경법 가능
토기 : 민무늬, 검은간, 덧띠
주거 : 지상가옥, 온돌장치
무덤 : 널무덤, 독무덤, 돌무지무덤
중국계통
중국과 교역 증거
진과 (한자)
창원 다호리 (붓)
화폐 (명도전, 반량전, 오수전)
고조선
단군왕검 : 제사장 + 지배자 = 제정일치
對 연나라
연의 진개 침입방지
관동정비, 왕권 강성
왕위세습 과정에서 부왕의 아들 준왕
진·한 교체기 : 위만 유입
철기의 본격적 유입
위만이 준왕 몰아내고 정권교체
초기국가
부여
5부족 연맹 : 왕 + 4출도 10
반농·반목 : 송화강 유역
풍습 ★
제천행사 : 영고 12月
순장
형사취수제 : 유목사회의 전통
우제점복
1책12법
선비족 침입으로 쇠퇴
고구려 침입으로 멸망 by 고구려 문자왕
고구려
졸본성에 건국 :11 식량부족, 약탈경제, 부경12
5부족 연맹체로 발전 : 왕, 상가 고추가 대가 → 제가회의에서 왕 選出
국내성으로 천도 13
풍습
제천행사 : 동맹 10月
형사취수제
1책12법
서옥제 : 노동력 중시
옥저
함경도 지역
군장 : 읍군, 삼로 14
풍습
농경발달, 해산물 풍부
민며느리제
가족공동묘15
멸망 by 고구려 태조왕의 공격
동예
강원도 지역
군장 : 읍군, 삼로
풍습 ★
제천행사 : 무천
책화
족외혼
呂凸 자형 집터 발견
방직기술, 단궁, 과하마, 반어피
삼한
토착세력 (진) + 유이민 : → 삼한형성
삼한
마한 54 : 목지국 王
변한 12
진한 12
풍습
祭政분리 : 소도, 천군
제천행사 : 수릿날 5月, 계절제 10月
벼농사 발달 : 두레, 저수지 축조(김제 벽골제)
변한 : 철 생산 많았다
마한 : 토실, 주구묘
발전
마한 54 + 백제 온조
변한 12 → 가야
진한 12 → 신라
테마
토기
신석기
빗살무늬토기, 이른민무늬토기, 덧무늬, 압인문, 덧띠 새김무늬
청동기
민무늬, 미송리식, 붉은간
철기
민무늬, 덧띠, 검은
발해
당나라에 자기 수출
문황 때 당과 친선관계 : 주작대로, 3성6부, 벽돌무덤
고려
순수청자 11c
상감청자 12c
분청사기 13c
조선
분청사기 15c
백자 16c
청화백자 조선후기
움집
신석기
화덕 : 중앙
형태 : 원형, 방형
인원 : 4~6
해안가, 내륙
청동기
화덕 : 측면
형태 : 사각형
인원 : 4~8
배산임수
농기구
신석기
농경 굴지구, 돌~
청동기
간석기, 바퀴날 도끼, 반달돌칼
철기
철제농기구 : 우경가능, 깊이갈이
고분양식
고구려
초기 : 돌무지 무덤 - 장군총
후기 : 굴식돌방무덤 - 벽화, 도굴용이
백제
초기 : 돌무지 무덤 - 석촌동 고분
중기 : 굴식돌방무덤, 무령왕릉 - 벽돌무덤(남조와 교류)
후기 : 굴식돌방무덤
신라
통일 직전 : 돌무지 덧널무덤 - 도굴 불가, 벽화x, 천마총 (천마도)
통일 전후 : 굴식돌방무덤 - 규모 작음, 둘레돌 설치 (12지 신상)
발해
굴식돌방무덤
국가발전과정
구석기 : 무리사회, 평등사회
신석기 : 모계 씨족사회 → 부족사회 : 지배자x 지배자o
청동기
군장국가 : 왕 명칭x , 옥저·동예(읍군,삼로)
연맹왕국 : 왕o , 왕권미약, 5부족연맹체
부여 : 왕 +사출도(마가우가저가구가)
고구려 : 왕 + 삼가(고추가)
고대국가
왕위세습으로 중앙집권국가 발생 k b s
왕위세습에서 부자세습으로
불교수용
율령반포
관등정비
정복전쟁, 영역국가 형성
3국의 한강차지
4c 백제 : (고이) 근초고왕
5c 고구려 : (소수림) 장수왕
6c 신라 : (법흥) 진흥왕
(王) 체제정비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