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드
현대문학 제 1기
개관
1908 ~ 1919
최남선1·이광수2의 2인 문단시대
계몽주의 문학시대
언문일치운동 : 언문일치에 근접
태서문예신보 창간 1918
최초의 주간 문예지
해외문학을 번역 소개
폐허, 백조 등 동인지 출현에 영향
주요인물 : 김억 3, 1920년 프랑스 상징주의 시를 번역소개
잡지
간행순서 : 소년4 → 청춘5 → 유심6 → 태서문예신보6
현대문학 제 2기
특징
1919 ~ 1930
동인지 속출, 다수 동인지 문단
3·1 운동 이후의 좌절적 분위기
신경향파 문학의 대두 : 1920년 무렵
순 문학적 성격 : 계몽성 거부
서구 문예 사조의 유입 : 문학의 세련화
1920년대 문학의 갈래
계급주의 문학 : KAPF
민족주의문학 : 국민문학파
특성 : 프로문학의 정치성에 반대, 문학의 순수성 강조, 민족의식 고취8
인물 : 이광수, 김동인, 박종화, 최남선9, 이은상, 이병기
역사소설 제작 : 1930년대
절충주의 문학
인물 : 양주동, 염상섭10
특징 : 후에는 국민문학파에 가담하여 프로문학을 비판
시
낭만주의 시 : 3·1 운동 실패에 대한 좌절, 현실 도피적 경향
인물
주요한 : 불놀이, 빗소리
오상순 : 아시아의 밤
이상화 : 나의 침실로,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홍사용 : 나는 왕이로소이다
변영로 : 논개, 조선의 마음
경향파 시 : 당대 현실의 문제를 수용, 시의 영역을 넓힌 국문학사적 가치를 높임
김기진 : 한 개의 불꽃
임화 : 우리 오빠의 화로11
민족주의 시
민요시 : 전통 민요의 현대적 계승노력 대두12
전통적 서정시 : 민족현실의 자각을 전통적인 시의 형식으로 형상화함13
국민문학파의 시조 : 카프 경향에 반발, 민족의식 고취 노력
소설
주류 : 사실주의와 자연주의 소설이 주류, 계몽 문학관 거부, 사회에 대한 관심의 고조
단편소설 확립 : 김동인, 현진건, 나도향
소설 기법의 특징 : 치밀한 구성, 객관적 묘사, 결말 처리의 비극성
목적소설의 등장 : 신경향파, KAPF문학14
주요작가 : 김동인, 현진건, 염상섭, 전영택, 최서해
1920년대 동인지와 동인
창조 : 1919, 언문일치 확립
시 : 상징주의
소설 : 사실주의
인물 : 김동인
개벽 : 1920, 경향파 문학, 계급주의 표방
인물 : 박영희 김기진
작품 : 표본실 청개구리, 진달래 꽃, 운수좋은 날,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폐허 : 1920, 퇴폐적 낭만주의15, 인물 : 황석우, 심억
장미촌 : 1921, 최초의 전문 시 동인지, 백조의 전신, 인물 : 황석우
백조 : 1922, 낭만주의적 잡지, 인물 : 나도향, 현진건
금성 : 1923, 낭만적 경향의 전문 시 동인지, 인물 : 양주동
영대 : 1924, 창조의 후신, 인물 : 김소월, 김억, 전영택, 주요한, 김동인
조선문단 : 1924, 反카프 민족주의, 최초로 추천제 도입, 동인지를 종합 문예지로 바꾼 최초의 잡지
인물 : 방인근, 이광수, 김동인16
해외문학 : 1927, 해외문학파 : 김진섭, 이하윤, 김광섭, 손우성
문예공론 : 1020, 개벽과 조선문단의 절충적 경향, 인물 : 양주동, 염상섭
신경향파 문학
빈궁의 문학 : 빈부간의 대립을 자연스레 묘사
반항의 문학 : 문제 해결의 방법을 방화나 살인으로 귀결
관념적 계급의식 문학 : 감상적이고 인도주의적
막연한 계급의식, 개인적, 문학적 저항의식
프로문학의 전기형태
인물 : 최서해17, 김기진18, 박영희19
프로문학 KAPF
KAPF : Korea Artista Proleta Federatio
김기진이 '백조'20 에 반발 : 박영희를 사상적으로 무장시켜 '백조'를 붕괴
사회주의 문학단체 결성
염군사 : 1922, 송영, 심대섭21, 이적효
파스큘라 : 1923, P박영희, A안석영, Y김형원, L이익상, U김복진, K김기진, A연학년 등이 그들의 성 또는 이름의 머리글자를 따서 결성
KAPF 결성 1925.8
계급투쟁과 정치적인 목적의식의 문학
뚜렷한 계급의식, 집단적 저항의식, 정치성이 분명함
기관지 : 문예운동(1926), 예술운동(1927)
제3전선파 : 일본 유학생 그룹
카프 소장파 : 카프의 주도권 이양, 날카로운 저항의식22
핍박
1931년 일제의 1차 검거령
1934년 일제의 2차 검거령
박영희 : '얻은 것은 이데올로기요, 잃은 것은 예술이다.'
임화 : 이식 문화론23, ※ 전통단절론 24
해산 : 1935년 공식 해체
주요작품 : 낙동강25, 인간문제26, 고향27, 인력거꾼, 살인28
프로문학의 전개과정
내용 vs 형식 논쟁 1926 : 박영희의 철야, 지옥순례에 김기진이 혹평을 가함으로써 시작됨
김기진 - 형식론29 : 소설은 하나의 건축이다. 형식 요소 강조
박영희 - 계급론 : 문학 활동은 계급적 지향이 명확해야 한다. 내용 요소 강조
아나키스트 논쟁 1927
박영희 '투쟁기에 있는 문예비평가의 태도' : 계급주의 문학은 당의 통제 내에 있어야 한다.
김화산 - 아나키스트 예술도구설 - 당의 통제 vs 예술자립설 - KAPF 제명
윤기정 - 막시스트30사이의 논쟁
대중화 논쟁 1929 : 투쟁적인 예술작품을 대중에게 전달하고 의식을 각성시키는 예술 대중화론
김기진 (구파)의 단편서사시 예술대중화론31 vs 임화 (소장파)의 시를 통한 대중화론32
농민문학 논쟁 1930 : 문학 운동 포섭 주체의 문제, 농촌 소작농33 vs 도시 노동자34
창작방법의 논쟁 1933
1932년, 소련 사회주의 리얼리즘35에 대하여 KAPF 내부에서 이것을 그대로 수용할 것인가의 문제로 논쟁36
프로문학 논쟁의 의의 : 현대 비평문학 분야에서 큰 의의와 가치를 남김
동반작가 : 1920년대 말 ~ 1930년대 초에 프로문학 단체에 직접 가입은 하지 않았으나, 그 취지에 찬동하고 보조를 같이한 작가들37
계급주의 작가 : 김기진, 박영희
제3전선파 : 이붕만, 윤기정
소장파 : 임화, 김남천, 한설야, 권환
현대문학 제 3기
현대문학 제 4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