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드
일반어(상의어), 특수어(하의어)
일반어 ⊃ 특수어
추상어(관념), 구체어(사물)
평화와 비둘기, 사랑과 어머니
이음동의어
책방=서점, 어버이=부모
이의어(유사어)
꼬리와 꽁지, 껍데기와 껍질
*우리말은 동의어보다 유의어(감각어,높임법)가 발달
동음이의어
말(言장음 馬단음), 눈(眼단음, 雪장음)
동음다의어
손(신체,관계,씀씀이,노동력,수리하다,혼내다)
반의어
반대관계: 중간항이 있다
모순관계: 중간항이 없다
의미의 특수화(축소)와 타락
겨레(종친→민족 의미확장) 영감(벼슬이름→늙은남자 의미확장)
놈(남자,사람→비속어 의미축소+의미타락) 마누라(귀족부인→아내 의미타락)
장인(기술자→기술자+예술가 의미확장)
댓글